본문 바로가기
728x90

경제정보107

정유산업의 진입장벽 1) 절대적 비용우위 정유 시장에 있어서 정유 5개사는 막대한 규모의 정제시설을 보유하여 신규 기업이 진입하고자 할 경우 비용의 측면에 있어 상당한 부담을 가지게 된다. 우선 정유사별 정제능력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정유산업의 특징은 첫째, 제품의 동질성이 높고 수요가 계속 증대되는 성장산업으로서 공장이나 시설의 신개설에 따른 고정비용이 큰 장치산업임으로 매몰비용이 상당히 큰 산업이다. 둘째, 자본 및 기술집약적 대규모 장치산업으로서 높은 가동율의 유지가 필요하다. 초기설비에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는데 반해 장기간에 걸쳐 투자자본이 회수되므로 유휴설비에 의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정제시설에 대한 투자비는 최소효율투자를 10만BPSD라 가정할 때 신규진입자가 새로운 공장을 신설할 때는.. 2022. 6. 28.
정유산업의 매출액과 고용지수 및 자산 1) 매출액 매출액은 일정기간에 걸친 기업활동의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의 총체적인 경제력을 나타낸다. 집중지수의 기준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며 독점규제법에서도 시장점유율을 매출액 기준으로 산정한다. 국내 정유산업의 시장구조는 현재 5개 기업(SK, LG, 쌍용, 한화, 현대)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전형적인 과점구조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5개 정유사의 매출액과 시장 점유율을 비교한 것이다. 1997년의 경우 SK가 37%, LG가 24%, 쌍용이 18%, 현대가 11%, 한화가 10%의 점유현황을 보이고 있다. 정유시장은 상위 3개사가 차지하고 있는 시장집중률(CR3)이 79%로서 우리 나라 시장구조분류(CR3가 60%이상이면 과점)에 의해 과점시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1990년까지만해도 정유.. 2022. 6. 27.
정유산업의 정의와 현황 정유산업의 정의와 범위 정유산업은 한국 표준 산업 분류표에 의하면 산업 세분류상 제조업(D)에 속하며, 제조업의 세분류상 코크스, 석유 정제품 및 핵연료 가공업(D23)에 속한다. 이 중 본 보고서의 분석 대상이 되는 정유5사가 속한 산업은 석유 정제품(D232)을 말한다. 정유산업의 현황 에너지원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국가기간사업이기도 한 석유정제업은 ‘97년 한해 많은 변화를 겪었다. ’97년은 석유사업 자유화의 원년으로서 정유업계는 직영대리점의 통합 등 경쟁력 향상을 휘한 노력을 추구해 왔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들의 경쟁이 외형지향적인 시장점유율 경쟁으로 이어지면서, 업계의 수익구조에는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석유류의 국내수급과 수출입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하.. 2022. 6. 26.
판매 촉진 관리 1. 판매촉진(SP; Sales Promotion)의 정의 1) 미국마케팅 학회 : 인적판매, 광고, 홍보등을 제외한 고객의 구매나 유통업자의 효율성을 자극하는 마케팅 활동 2) 유통업자나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도록 제공하는 단기적이고 자극적인 유인수단 2. 판매촉진의 효과 1) 사간압박(유효기간)을 통한 고객의 빠른 구매․비축행위 유도 2) 신규구매 및 상표전환 유인 3) 선물(先物)구매와 그 지원 유도 4) 변동비적 성격(팔리는 물건만 팔림)으로 고정비 부담감소 5) 쿠폰․할인혜택으로 인한 가격차별화 가능 ※ 가격차별화 조건 ㉠ 소비자 집단간의 상이한 가격 탄력성 ㉡ 소비자 집단간에 가격분리 ㉢ 가격을 이용하는 재판매업자가 없을 것 6) 상품광고에 대한 주목을 높임 → 상표정보전달 촉진 7) 시험구매를.. 2022. 6. 25.
산업재 광고 관리와 국제 광고 관리 산업재 광고 관리 1. 산업재 마케팅의 정의 : 조직의 구매에 대한 마케팅 2. 기업 마케팅의 특성 1) 조직행동을 고려 2) 마케팅 대상이 기업․조직 3) 상품의 비표준성(구매자에 의해 추가․변형가능) : 주문생산적 특징 ① 장점 : 추가적인 제품과 서비스의 변형 → 높은 부가가치 창출 ② 단점 : 생산․마케팅상의 어려움 4) 제조업자와 구매자간의 관계가 중요 3. 산업재 광고의 용도 1) 인적판매에 대한 보완적 수단 : 고객접촉초기에 구매가능성이 큰고객을 선별시 2) 마케팅대상기업내의 정보통제자의 부정적영향을 사전에 무마시킴 3) 최종소비자의 근원적 수요 자극 4) 기업에 대한 호의 형성 4. 산업재 광고매체 1) 전문잡지와 전문지 : 높은 선택성 (목표시장에 차별적으로 접근) ① 수직적 간행물 : .. 2022. 6. 24.
소매 광고 관리 ☞ 백화점, 프랜차이즈점, 편의점, 양판점 ☞ 소매광고의 유의점 ① 비계획구매를 위한 광고의 필요성 → 구매시점(POP : Point Of Purchase)광고 ② 제조업체광고와의 조화의 필요성 : synergy effect ③ 협동광고의 가능성 : 자체부담 감소 1. 점포의 중요성 1) 점포의 이미지․애호도 : 상품구매에 영향 2) 점포속성의 중요도 : 점포의 경쟁․차별화 요소가 소비자 수준에 맞는가의 여부 3) 접포속성의 지각 : 점포요소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가의 여부 2. 소매광고 전략 1) 소매점의 형태 2) 소매광고의 목표 ① 장기적 목표 ㄱ) 점포이미지 및 상표위상의 개선 ex) 진로유통센터 : ‘즐거운 쇼핑, 행복한 생활’ ㄴ) 공공서비스 : 공공캠페인 ② 단기적 목표 ㄱ) 신규고객의 유치 .. 2022. 6. 23.
직접마케팅(DM : Direct Marketing) 1. DM의 특징 1) 양방성 : 의사전달의 피드백 2) 직접성 : 고객과의 직접접촉을 통한 고객의 즉각적인 반응 3) 친근감 : 고객들이 개별적인 대우를 받음을 유도 4) 통합성․복합성 : 여러가지 수단의 DM의 혼용으로 인한 상호보완 5) 측정가능성 : 대상의 구체화, 판매위주의 목표 → 성과 측정가능 6) 사생활 침해에 따른 개인의 거부감 유도, 개인정보 무단유출의 문제 ex) 사설학원․자격증업체들의 telemarketing 2. DM의 의사결정 1) 주체에 따른 분류 ┌─ 기업자체 수행 └─ DM 대행업체(신규시장 진입시) : 종합광고 대행사, DM전문업체 2) 직접성 : 고객과의 직접접촉을 통한 고객의 즉각적인 반응 ① 일반소비자 : 소비재, 서비스를 생산․판매하는 회사 ex) 화장품회사, 은행.. 2022. 6. 22.
광고 매체계획 수립 1. 매체계획수립 : 어떤 상표의 광고물이 표적시장의 소비자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있게끔 광고물의 전달매체를 선택하고 구체적인 매체활용 방법과 시기를 정하는 일련의 의사결정과정 1) 전략특성자료 ① 마케팅 목표/전략, 광고목표/전략 ② 표적시장 이름과 수 ③ 계획기간 : 계획하는 단위기간의 수 ④ 총매체예산 (광고예산, 예상 광고제작비) ⑤ 대안고려 매체군 ⑥ 상품특성/상표특성 2) 매체특성자료 ① 매체단위비용 : 각 매체단위의 구매비용 ② 청중노출확률 : 특정 비클의 청중이 그비클에 삽입된 광고에 노출될 확률 ③ 활용상한선 : 특정 매체단위를 계획기간동안 구매할 수 있는 최대 회수 ④ 청중계절성 지수 : 평균을 1.0으로 할 때 각 매체비클의 시기별 청중수 ⑤ 노출가치지수 : 평균을.. 2022. 6. 21.
광고매체의 종류(TV,신문,라디오,잡지,옥외광고) 1. 광고매체 1) 광고매체전략시 유의점 ① 표적이 되는 소비자 결정 ② 광고의 넓이(소비자수)와 깊이(광고노출 평균빈도) 결정 ③ 계절, 지역에 따른 노출정도 결정 ④ 광고매체의 상징성에 대한 고려 ⑤ 매체선택권 부여의 문제 (카피라이터, 광고기획자, … ) 2) 광고매체의 종류 ① 소비자 고관여매체 : 인쇄매체 (신문, 잡지, 전단 … ) ② 소비자 저관여매체 : 방송매체 (TV, 라디오), 옥외광고 3) 소비자 선별능력과 정보전달맥락에 의한 매체의 분류 4) 주요광고매체의 장․단점 2. TV매체 1) TV 방송광고의 종류 2) TV광고의 체크사항 ① 그림으로 말하라 ② 핵심장면을 삽입하라 ③ 시청자의 주목을 끌라 : 첫 5초내에 소비자의 관심을 끌 것 ④ 쉽게 만들어라 : 상표명-혜택-증명의 내용을.. 2022. 6.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