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

의사표시의 불일치 진의와 통정허위표시

by Epic Writer 2022. 6. 5.
728x90

썸네일
썸네일

진의 아닌 의사표시

 

1. 의의

비진의의사표시

心理留保

표시대로 효과발생을 인정하여 상대방을 보호함

(참고) 심리유보와 희언표시 (독일의 구별방식)

심리유보-- 상대방 모르게 비진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희언표시-- 상대방이 알 것을 기대하고 하는 비진의 의사표시 --무효

우리 민법은 이들 양자를 구별하고 있지 않음

 

2. 요건

1) 의사표시가 있을 것

배우의 대사, 희언, 명백한 농담등은 의사표시가 아님

2) 의사와 표시가 불일치할 것

 

3. 효과

1) 원칙

표시된 대로 효력을 발생

2) 예외적으로 무효가 되는 경우

①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

알 수 있었을 때→ 과실에 의한 부지를 의미

(예) 근로자가 회사의 경영방침에 따라 재입사를 전제로 사직원을 제출하고,근로자가 퇴직 전후에 걸쳐서 중단없이 근로를 계속한 경우에는 회사는 근로자의 비진의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고, 따라서 퇴직의 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대판 1988.5.10, 87다2578)

② 비진의 사실의 지.부지나 과실의 유무를 판단하여야 할 기준시기

상대방의 요지한 때를 기준(곽윤직)

도달한 때를 기준(이영준, 김상용)

3) 무효가 되는 경우, 상대방에게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하는가?

상대방이 악의인때는 ×

상대방이 선의이고, 선의인데 과실이 없는 경우에?

(1) 부정설

독일과는 달리 신뢰배상에 대한 규정이 없고,

상대방의 귀책사유 「알거나 알 수 있었을 것」으로 규정한 것에 비추어 배상책임은 부정됨

(2) 긍정설

불법행위책임 내지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에 기한 손해배상(제535조 유추적용)

다만, 상대방이 진의아님을 알 수 있었던점에서 과실상계(제396조) 가능

4) 선의의 제3자보호

거래안전규정

 

통정허위표시

 

1. 서설

1) 의의

상대방과 통정하여 하는 진의 아닌 허위표시의 의사표시

허위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행위를 가장매매

2) 허위표시의 유형

① 허구의 행위

② 은익행위 (증여세 등을 면탈하기 위해서 매매를 가장)

③ 타인명의의 행위 (명의신탁)

④ 법률행위내용의 확대 또는 축소 (양도소득세를 덜 내기 위해 매매대금을 축소하여 계약서를 작성)

3) 구별개념

(1) 一部의 假裝行爲

법률행위의 일부가 허위표시일 경우에 그 실제의 법률행위는 유효한가?

① 제137조 적용설 (이영준, 김상용)

내용이 가분이면, 일부무효를 원칙으로 함.(대법원 1992.12.22, 91다35540)

② 제137조 적용부정설 (이은영)

전체의 가장행위의 효력은 다른 특약이 없는 한 실제합의의 부분으로 축소되어 유효한 법률행위가 된다

(2) 共通의 錯誤表記

의사표시의 외양만을 조작하려는 통정이 없으므로 허위표시 ×

(3) 信託的 讓渡行爲(명의신탁)

 

2. 요건

1) 의사표시가 있을 것.

유효한 의사표시가 있는 것 같은 외관

2) 진의와 표시의 불일치

신탁행위는 허위표시가 ×

3) 불일치를 표의자가 스스로 알고 있어야 함

4) 상대방과의 합의가 존재(통정)

 

3. 효과

1) 무효

단, 제746조의 적용받지 ×

채권자취소권의 객체

2) 선의의 제3자에게 대항할 수 ×

허위표시의 외형을 신뢰한 자의 이익을 보호

① 제3자의 범위

.당사자와 그 포괄승계인 이외의 자

허위표시의 당사자로부터 독립한 이익을 갖는 법률관계에 들어간 자

② 선의

의사표시가 허위표시임을 모르는 자

선.악의 결정시기→ 법률상 이해관계가 생겼을 때

선의 제3자로부터 전득한 자가 악의라고 하더라도 무효로 대항할 수 ×

→ 전득자는 선의의 제3자를 승계하기 때문

③ 대항하지 못한다.

무효를 주장할 수 ×

선의의 제3자는 무효주장 ○

 

4. 적용범위

1) 계약

2) 상대방있는 단독행위

채무면제

상대방없는 단독행위는 ×

3) 가족법상의 행위는 언제나 무효

선의의 제3자에게도 대항

728x90

댓글